미노미's Blog
그래그래



자궁외임신 후 나타나는 증상들과 원인


자궁외임신이란 수정란이 정상적인 위치인 자궁몸통의 내강에 착상되지 않고 다른 곳인 난관이나 난소, 인대, 복강, 자궁경부 등에 착상되는 임신을 말한답니다. 그렇다면 자궁외임신 후 나타날 수 있는 증상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자궁외임신이 되는 원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자궁외임신 후 나타나는 증상들을 알아봅니다. 일단 자궁외임신 증상이란 매우 다양한데 일반적으로 월경 양상 이상이나 자연 유산의 느낌을 흔히 갖게 된다고 합니다. 다양한 정도의 출혈 및 하복부 통증이 나타나고 어지럼증이나 현기증, 목 또는 어깨 부위의 통증을 동반하게 된다고 하는군요. 


자궁외임신 후 증상의 문제점은 태아가 자라나면서 태아로 인해 자궁외임신 부위인 특히 난관 등이 파열되는 것으로 이럴 경우 많은 양의 피가 한꺼번에 출혈되어 임산부가 생명을 잃을 수도 있다는군요.




자궁외임신이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자궁외임신 원인을 알아봅니다. 일단 자궁외임신은 주로 난관의 손상에 의해서 발생되는 것인데, 염증이나 감염에 의한 손상이나 난관 수술 후에 발생하는 물리적 난관 손상 등이 주 원인으로 꼽힌다는군요. 또한 자궁외임신은 난관의 곁주머니에 배아가 갇히거나 자궁으로의 진행이 진행되어 발생하기도 한다고 그 원인이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자궁외임신의 검사 같은 경우 직장과 자궁 사이에 있는 복강의 일부분인 막힌 주머니를 천자해 보았을 때 0.5mm이상의 비응혈성 혈액이 흡입될 경우 자궁외임신의 파열로 인한 출혈을 의심해 볼 수 있고 초음파 영상법, 최근의 면역 화학적 호르몬 측정법과 복강경 검사법, 또는 자궁 내막 조직검사 등을 통해서 자궁외임신 여부를 알아낼 수 있다고 하는군요. 


자궁외임신의 어떤 원인이든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약물요법과 수술적 치료법이 있다고 하는데, 환자의 임상 상태에 따라 선택해야 한다는군요. 약물요법의 경우는 약물을 전신으로 투여하거나 직접 국소 주입하는 방법이며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쇼크 상태의 환자는 가능한 빨리 수술적 처치를 해 주어야 한다는데 수술은 개복 또는 복강경을 이용한 난관 절제술, 난관 개구술, 부분 난관 절제술 등이 있다네요. 하지만 모든 자궁외임신을 반드시 치료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초음파를 지속적으로 시행하면서 주의깊게 관찰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자궁외임신이란 무엇이며 증상과 원인은 무엇인가에 대하여 간단히 알아보았네요. 




0123






분류 전체보기
연예정보
보험정보
건강정보
다이어트
각종정보
나의 일상